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앱인벤터 기초, 인터페이스 이해 앱인벤터는 복잡한 프로그래밍 언어 대신, 블록을 연결하여 앱을 만드는 교육용 플랫폼입니다.초등학생부터 중학생까지 손쉽게 앱을 설계하고,스마트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코딩교육의 기초 도구로 자주 사용됩니다.1️⃣ 앱인벤터의 화면 구조앱인벤터를 처음 실행하면 다양한 창이 한눈에 들어옵니다.버튼, 텍스트상자, 이미지가 보이고, 오른쪽에는 여러 속성 창이 보이죠.겉으로는 복잡해 보이지만, 앱인벤터의 인터페이스는 매우 논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앱인벤터의 기본 화면은 크게 디자이너 화면과 블록 화면으로 나뉩니다.이 두 영역은 서로 연결되어 ‘형태 → 기능’의 순서로 앱을 완성하는 구조를 갖습니다.앱 개발의 첫걸음은 바로 이 인터페이스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2️⃣ 디자이너 화면 구성 .. 2025. 10. 25.
앱 제작의 첫걸음 🌿 앱 제작의 첫걸음, 앱인벤터를 이해하다스마트폰은 이제 아이들의 일상 속 학습 도구입니다.하지만 앱을 단순히 ‘사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직접 만드는 경험으로 확장할 때,아이들의 사고력과 창의력은 한층 깊어집니다.앱인벤터는 이러한 변화에 맞춘 교육용 블록코딩 도구입니다.코드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시각적 블록을 조합해 앱을 완성할 수 있죠.덕분에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학생도 논리적 구조와 흐름을 쉽게 이해합니다.앱인벤터는 구글에서 개발되어 MIT를 중심으로 교육용으로 발전했습니다.현재 초등부터 중등까지, 다양한 프로젝트 수업에서‘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앱 만들기’ 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앱인벤터의 기본 구조와 작동 원리앱인벤터의 구조는 단순하지만 체계적입니다.디자인 화면과 블록 화면 —.. 2025. 10. 24.
AI 코딩이란 무엇인가 최근 교육 현장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AI 코딩’입니다.하지만 많은 학부모와 교사들이 “AI 코딩이 정확히 무엇인지”, “일반 코딩과는 어떻게 다른지”를 궁금해합니다.이번 글에서는 AI 코딩의 개념과 원리, 그리고 교육적 의미를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AI 코딩의 개념AI 코딩은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하거나,AI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코딩을 사용하는 학습 방식을 말합니다.즉,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능력”이 아니라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학습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입니다.예를 들어, 기존의 코딩이 ‘명령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라면,AI 코딩은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판단하고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입니다.💡 기존 코딩과 AI 코딩의 .. 2025. 10. 24.
센서의 신호가 코드로 바뀌는 과정, 하드웨어 이해하기 피지컬 컴퓨팅이나 메이커 프로젝트 수업에서“센서가 데이터를 읽고, 코딩이 반응한다”는 표현을 자주 듣습니다.하지만 실제로는 그 과정이 눈에 보이지 않아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센서가 정보를 감지하고, 하드웨어가 이를 코드로 해석하는 과정을단계별로 살펴보며, 코딩이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 센서란 무엇인가센서는 주변의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바꾸는 장치입니다.사람에게 눈·귀·피부가 있다면, 컴퓨터에게는 센서가 그 역할을 대신합니다.예를 들어,조도 센서: 밝기의 정도 감지온도 센서: 주변 온도의 변화 감지거리 센서: 사물과의 간격 계산이처럼 센서는 환경의 변화를 숫자나 전압 값으로 바꿔 하드웨어에 전달합니다.그 정보를 바탕으로 코드가 동작 조건을 판단하.. 2025. 10. 23.
피지컬 컴퓨팅 오늘날 코딩교육은 단순히 컴퓨터 화면 안에서 끝나지 않습니다.아이들이 직접 손으로 만들고, 움직임과 반응을 설계하는 학습 방식이 바로 피지컬 컴퓨팅입니다.이 개념은 창의력, 문제 해결력, 협업 능력을 통합적으로 키워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피지컬 컴퓨팅이란 무엇인가?피지컬 컴퓨팅은 ‘컴퓨터와 물리적 세계를 연결하여 상호작용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즉,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센서, 모터, LED, 버튼 등 실제 사물을 제어하고 반응시키는 활동입니다.기존의 코딩이 화면 속 논리적 명령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피지컬 컴퓨팅은 그 논리를 현실 속 움직임으로 확장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손을 흔들면 불이 켜지는 장치온도에 따라 색이 바뀌는 조명소리를 감지해 반응하는 로.. 2025. 10. 23.
블록코딩과 텍스트코딩 요즘 아이들의 코딩교육은 ‘블록코딩’으로 시작해 ‘텍스트코딩’으로 이어집니다.두 방식 모두 코딩을 배우는 방법이지만, 표현 형태와 사고 과정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블록코딩과 텍스트코딩의 개념, 특징, 교육적 차이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블록코딩의 개념과 특징블록코딩은 코드를 글자가 아닌 블록 형태로 조립하는 시각적 코딩 방식입니다.마우스로 명령 블록을 끌어다 놓기만 하면 프로그램이 완성되기 때문에문법 오류나 철자 실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대표적인 블록코딩 도구로는 스크래치, 엔트리, 마이크로비트, 앱인벤터 등이 있습니다.아이들은 블록을 조립하며 명령의 순서, 조건, 반복, 변수 등 기본 개념을 자연스럽게 익힙니다.💡 블록코딩의 장점시각적으로 이해가 쉬워 초등 단계 입문에 적합코드 .. 2025.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