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인벤터는 복잡한 프로그래밍 언어 대신, 블록을 연결하여 앱을 만드는 교육용 플랫폼입니다.
초등학생부터 중학생까지 손쉽게 앱을 설계하고,
스마트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코딩교육의 기초 도구로 자주 사용됩니다.
1️⃣ 앱인벤터의 화면 구조
앱인벤터를 처음 실행하면 다양한 창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버튼, 텍스트상자, 이미지가 보이고, 오른쪽에는 여러 속성 창이 보이죠.
겉으로는 복잡해 보이지만, 앱인벤터의 인터페이스는 매우 논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앱인벤터의 기본 화면은 크게 디자이너 화면과 블록 화면으로 나뉩니다.
이 두 영역은 서로 연결되어 ‘형태 → 기능’의 순서로 앱을 완성하는 구조를 갖습니다.
앱 개발의 첫걸음은 바로 이 인터페이스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2️⃣ 디자이너 화면 구성 이해
디자이너 화면은 앱의 겉모습을 만드는 공간입니다.
스마트폰 화면을 미리 보면서 버튼, 이미지, 글자 등 시각적 요소(컴포넌트) 를 배치합니다.
디자이너 화면은 아래와 같은 5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 번호 | 영역 | 기능설명 |
| ① | 팔레트 | 버튼, 이미지, 텍스트상자 등 앱 화면에 배치할 구성요소 목록 |
| ② | 뷰어 | 실제 스마트폰 화면처럼 앱 디자인을 확인하며 배치 가능 |
| ③ | 컴포넌트 | 앱에 포함된 요소(버튼, 이미지 등)의 구조를 계층 형태로 표시 |
| ④ | 속성 | 각 컴포넌트의 색상, 크기, 정렬 등 세부 속성 설정 |
| ⑤ | 미디어 | 사진·소리 등 멀티미디어 파일 업로드 관리 영역 |
3️⃣ 블록화면 구성 이해
디자인이 완성되면, 이제 앱이 실제로 ‘작동’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 과정을 담당하는 곳이 바로 블록 화면입니다.
앱인벤터의 블록은 퍼즐 조각처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블록은 명령, 조건, 반복, 이벤트 등을 표현하며,
이들을 조합해 하나의 논리 흐름을 완성합니다.

| 번호 | 영역 | 기능 설명 |
| ① | 블록 | 제어·논리·수학·텍스트 등 명령 블록 카테고리 목록 |
| ② | 뷰어 | 블록을 조립하고, 명령 구조를 완성하는 작업 공간 |
- 이벤트 블록:
사용자의 행동(예: 버튼 클릭)에 반응하도록 설정합니다.
→ “버튼을 클릭했을 때, 텍스트가 바뀐다” - 조건 블록:
상황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게 합니다.
→ “만약 점수가 10점 이상이면 축하 메시지를 표시” - 변수 블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역할을 합니다.
→ “점수”, “시간”, “이름” 등 다양한 정보를 관리 - 연산 블록:
더하기, 빼기, 비교 등 계산 기능을 수행합니다.
블록 화면은 아이들이 텍스트 코드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논리적 사고력과 절차적 사고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공간입니다.
4️⃣ 디자이너와 블록의 관계
앱인벤터는 ‘디자인(보이는 부분)’과 ‘기능(작동하는 부분)’을 분리해 학습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아래 인포그래픽처럼, 디자이너에서 만든 화면이 블록 화면의 로직과 연결됩니다.
📌 핵심 정리
- 앱인벤터는 시각적 설계(디자이너)와 논리적 구현(블록)의 결합으로 앱 제작 원리를 학습하게 한다.
- 텍스트 코딩이 어려운 초급 학습자도 컴퓨팅 사고력과 논리적 사고를 키울 수 있다.
- 코딩은 단순히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를 설계하고 기능을 조합하는 과정임을 배울 수 있다.
앱인벤터는 ‘보이는 것과 작동하는 것’을 분리해 이해를 돕는 교육형 플랫폼입니다.
학생들은 직접 앱을 만들며 코딩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앱인벤터를 통해 어떤 앱을 만들어보고 싶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