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 사고력

블록코딩과 텍스트코딩

by CodeOnrae 2025. 10. 23.

요즘 아이들의 코딩교육은 ‘블록코딩’으로 시작해 ‘텍스트코딩’으로 이어집니다.
두 방식 모두 코딩을 배우는 방법이지만, 표현 형태와 사고 과정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록코딩과 텍스트코딩의 개념, 특징, 교육적 차이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블록코딩과 텍스트코딩




블록코딩의 개념과 특징

블록코딩은 코드를 글자가 아닌 블록 형태로 조립하는 시각적 코딩 방식입니다.
마우스로 명령 블록을 끌어다 놓기만 하면 프로그램이 완성되기 때문에
문법 오류나 철자 실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대표적인 블록코딩 도구로는 스크래치, 엔트리, 마이크로비트, 앱인벤터 등이 있습니다.
아이들은 블록을 조립하며 명령의 순서, 조건, 반복, 변수 등 기본 개념을 자연스럽게 익힙니다.

💡 블록코딩의 장점

  • 시각적으로 이해가 쉬워 초등 단계 입문에 적합
  • 코드 문법보다 논리 흐름과 순서 중심 학습 가능
  • 결과가 즉시 화면에 반영되어 성취감 높음
  • 오류 없이 실험적 학습이 가능해 창의적 시도를 장려

⚙️ 블록코딩의 한계

  • 복잡한 알고리즘이나 대규모 프로그램 구현에 한계
  • 코드 구조를 세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움
  • 텍스트 기반 언어로 전환 시 문법 이해가 새로 필요

블록코딩은 **“코딩의 문법보다 사고 구조를 먼저 배우는 과정”**입니다.
즉, 코딩을 글로 쓰기 전 사고의 틀을 익히는 ‘코딩의 모국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텍스트코딩의 개념과 특징

텍스트코딩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직접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블록코딩보다 자유도가 높고, 실제 산업이나 연구에서도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언어로는 파이썬, C언어, 자바, 자바스크립트 등이 있으며,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면서 정확한 문법, 구조적 사고, 효율성을 익히게 됩니다.

💡 텍스트코딩의 장점

  • 복잡한 로직과 알고리즘 구현 가능
  • 실제 개발 환경과 동일하여 진로 확장성 높음
  • 코드 재사용과 수정이 용이해 효율적 설계 사고 강화
  • 다양한 외부 도구나 라이브러리 활용 가능

⚙️ 텍스트코딩의 한계

  • 문법 오류 발생 시 실행 불가 → 초보자에게 진입 장벽
  • 결과가 즉시 시각화되지 않아 이해 속도가 느림
  • 직관적 접근이 어렵고, 처음에는 학습 부담이 큼

즉, 텍스트코딩은 정확성과 논리성을 중심으로 한 실무형 학습 단계입니다.
학생들은 블록코딩에서 배운 논리 흐름을 바탕으로,
이제는 언어 문법을 활용해 구체적 명령을 설계하게 됩니다.


블록코딩과 텍스트코딩의 비교

                                                 

 

구분 블록코딩  텍스트코딩
표현 방식 명령 블록을 시각적으로 조립 명령어를 직접 입력
난이도 낮음 – 초등 입문용 높음 – 중·고등 및 실무 단계
오류 발생 거의 없음 문법 오류 발생 가능
즉시성 결과 확인이 빠름 실행 전까지 결과 확인 어려움
학습 중심 사고 구조와 순서 이해 논리 구조와 문법 정확성
대표 도구 스크래치, 마이크로비트, 앱인벤터 파이썬, C언어, 자바, 자바스크립트
교육 목적 코딩 개념 익히기, 창의력 발달 실무 역량 강화, 문제 해결 능력

이 표를 보면, 두 방식은 학습 목적이 분명히 다릅니다.
블록코딩은 ‘사고력 중심’, 텍스트코딩은 ‘논리적 정확성 중심’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교육 현장에서의 단계적 접근

효과적인 코딩교육을 위해서는 두 방식을 연결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1️⃣ 기초 단계: 블록코딩으로 개념 익히기

  • 스크래치, 엔트리, 마이크로비트 등으로 명령 구조와 반복 개념 학습
  • ‘문법보다 흐름’을 중심으로 사고력 강화

2️⃣ 응용 단계: 텍스트코딩으로 확장하기

  • 파이썬, 자바 등으로 동일한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해보기
  • 코드의 세밀한 제어와 효율성 학습

3️⃣ 융합 단계: 피지컬 컴퓨팅과 창의 프로젝트 연결

  • 블록코딩(앱인벤터, 마이크로비트)과 텍스트코딩(파이썬)을 결합
  • 로봇 제어, 앱 개발, 데이터 분석 등 실생활 프로젝트 구현

이러한 구조는 코딩을 ‘생각하는 힘에서 실행하는 힘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제공합니다.


교육적 시사점

  • 블록코딩은 사고력의 씨앗, 텍스트코딩은 논리력의 확장이다.
  • 아이가 코드를 직접 입력하기 전, 문제 해결의 흐름을 구조화하는 연습이 먼저 필요하다.
  • 코딩교육의 목적은 ‘언어 습득’이 아니라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의 성장이다.

결국 두 방식은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보완적인 학습 단계입니다.
블록코딩으로 시작해 텍스트코딩으로 발전하는 과정은
아이들이 “코딩을 통해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여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 블록코딩은 시각적·직관적, 텍스트코딩은 논리적·정확성 중심
  • 학습자는 블록코딩으로 사고 구조를 배우고, 텍스트코딩으로 표현 확장
  • 두 방식은 연속적 관계이며, 창의융합교육의 중요한 단계

 

블록코딩은 생각을 시작하게 하고, 텍스트코딩은 그 생각을 완성하게 한다.
두 방식은 코딩교육의 출발과 도착을 잇는 다리입니다.

 

여러분은 아이가 블록코딩에서 텍스트코딩으로 넘어갈 때 어떤 점을 가장 어려워하던가요?

'코딩 사고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코딩이란 무엇인가  (0) 2025.10.24
알고리즘과 순서도  (0) 2025.10.23
컴퓨팅 사고력  (0) 2025.10.23
코딩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0) 2025.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