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 사고력

알고리즘과 순서도

by CodeOnrae 2025. 10. 23.

코딩교육의 핵심은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기술이 아니라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배우는 데 있습니다.
이 과정의 중심에는 ‘알고리즘’과 ‘순서도’라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알고리즘의 개념과 순서도의 구조, 그리고 교육적 활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알고리즘과 순서도의 기본 이해

 


알고리즘의 개념과 역할

‘알고리즘’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적 절차나 방법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무엇을 어떤 순서로 해야 하는가”를 정리한 논리적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컵라면을 만드는 과정”을 생각해봅시다.
1️⃣ 물을 끓인다
2️⃣ 끓는 물을 컵라면에 붓는다
3️⃣ 3분을 기다린다
4️⃣ 젓가락으로 섞어 먹는다

이 단계들이 바로 하나의 알고리즘입니다.
모든 과정에는 ‘순서’가 존재하고, 그 순서를 따라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코딩교육에서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한 논리적 설계도 역할을 합니다.
즉, 컴퓨터가 인간의 명령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체계적인 단계로 구성된 사고 과정이 바로 알고리즘입니다.


순서도의 개념과 구성 요소

알고리즘을 눈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순서도입니다.
순서도는 프로그램의 흐름과 구조를 도형으로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 도구입니다.

순서도를 구성하는 주요 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호의미설명
시작·종료 알고리즘의 시작과 끝을 표시
처리 계산, 출력 등 실제 동작을 나타냄
판단 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로 나뉘는 부분
입력·출력 데이터의 입력과 결과 출력
흐름 명령의 진행 방향을 나타냄

이러한 기호를 사용해 알고리즘의 흐름을 단계적으로 도식화하면,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논리 구조를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짝수인지 홀수인지 판별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작
  2. 숫자 입력
  3. 2로 나눈 나머지가 0인가?
    •   예 → “짝수입니다” 출력
    •   아니오 → “홀수입니다” 출력
  4. 종료

이처럼 순서도는 사고의 흐름을 명확히 시각화함으로써
학생들이 문제 해결 과정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교육적 도구입니다.


알고리즘과 순서도의 교육적 활용

코딩교육 현장에서는 알고리즘 → 순서도 → 블록코딩 → 텍스트코딩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학습 구조가 효과적입니다.

1️⃣ 논리적 사고력 강화

  • 학생들은 순서도를 직접 그리며, 문제 해결의 단계적 흐름을 구성하는 연습을 합니다.
  • 이는 코딩 문법을 배우기 전 논리적 사고 기반을 다지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오류 예측 및 수정 능력 향상

  • 순서도를 통해 프로그램의 전체 구조를 시각적으로 검토할 수 있어
    논리적 오류를 미리 발견할 수 있습니다.

3️⃣ 협력적 문제 해결 학습

  • 팀 단위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순서도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과 역할 분담 능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됩니다.

4️⃣ 메이커교육과의 연계

  • 알고리즘 설계는 마이크로비트나 아두이노 같은 피지컬 컴퓨팅 수업에서도 필수 단계입니다.
  • 센서 동작, LED 제어, 로봇 이동 등의 실제 구현 과정은
    모두 알고리즘과 순서도의 사고 구조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 핵심 정리

  • 알고리즘은 문제 해결을 위한 단계적 절차
  • 순서도는 알고리즘의 시각적 표현 도구
  • 두 개념은 코딩교육의 논리적 사고 기반을 형성
  • 오류 수정, 협력적 학습, 메이커교육에도 확장 가능

 

알고리즘과 순서도는 코딩교육의 출발점이자
아이들이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하도록 돕는 사고 훈련 도구입니다.


 

여러분은 아이가 문제를 풀 때, 과정을 먼저 떠올리도록 지도하고 계신가요?

'코딩 사고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코딩이란 무엇인가  (0) 2025.10.24
블록코딩과 텍스트코딩  (0) 2025.10.23
컴퓨팅 사고력  (0) 2025.10.23
코딩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0) 2025.10.22